학회 소개

한국사회언어학회(이하SSK)는 사회적 행위로서의 언어및 언어 사용에서의 다양한 문제 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는 학술 단체이다. SSK는 사회언어학 연구자들에게 다원화, 다언어적인 사회에서의 언어 사용에 대한 논의를 위한 장을 제공한다.

의미는 화용적 환경 속에서 실현되고 맥락화되므로, 화자의 진정한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언어적 맥락을 넘어서 해석해야 한다. 이러한 화용적 환경은 화자 간 관계부터 더 넓은 문화적 맥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준언어적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언어 형태는 사회적 행위로서 기능하며,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깊이 이해하는 것이 사회언어학 연구의 핵심 목표이다.

1990년 설립 이후, SSK는 사회언어학 연구의 교류를 촉진하여 다양한 사회 및 언어적 영향을 받는 사람들 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해왔다. 본 학회는 인문학과 융합연구의 궁극적 목표인 인간의 사고, 행동, 그리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SSK 주요 활동

1. 「사회언어학」 및 사회언어학 총서 시리즈 출판
SSK는 「사회언어학」을 연4회 발행하며, 사회언어학 주제와 관련된 총서 시리즈 단행본을 2년마다 출판하여 사회언어학의 발전과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

2.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개최
SSK는 매년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사회언어학 연구를 촉진하고, 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발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를 넘어 글로벌 사회언어학적 주제를 다루는 국제 학술대회를 주요 기념 연도에 개최하고 있다.

3. 신진연구자양성
SSK는 사회언어학 연구자들의 연구 의욕 고취와 학술지 논문의 질을 높이기 위해 매년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심사하여, 우수 연구자 1인을 선정하고 ‘신진 우수논문상’을 수여한다. 선정된 연구자에게 가을 학술대회 시 상장과 소정의 상금을 수여하여, 수상자가 학문적으로 인정받고 성장할 기회를 제공한다.



SSK 연혁

역대 회장

  • 1대 회장 : 황적륜 교수(1990년12월-1992년12월)
  • 2대 회장 : 홍연숙 교수(1993년1월-1994년12월)
  • 3대 회장 : 박순함 교수(1995년1월-1996년12월)
  • 4대 회장 : 이덕호 교수(1997년1월-1998년12월)
  • 5대 회장 : 박영순 교수(1999년1월-2000년12월)
  • 6대 회장 : 왕한석 교수(2001년1월-2002년12월)
  • 7대 회장 : 황선혜 교수(2003년1월-2004년12월)
  • 8대 회장 : 김하수 교수(2005년1월-2006년12월)
  • 9대 회장 : 김용진 교수(2007년1월-2008년12월)
  • 10대 회장 : 이진성 교수(2009년1월-2010년12월)
  • 11대 회장 : 김혜숙 교수(2011년1월-2012년12월)
  • 12대 회장 : 강현석 교수(2013년1월-2014년12월)
  • 13대 회장 : 서경희 교수(2015년1월-2016년12월)
  • 14대 회장 : 김규현 교수(2017년1월-2018년12월)
  • 15대 회장 : 백경숙 교수(2019년1월-2020년12월)
  • 16대 회장 : 이정복 교수(2021년1월-2022년12월)
  • 17대 회장 : 허재영 교수(2023년1월-2024년12월)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j. Korea Saf. Manag. Sci.
Frequency Published four times annually in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Doi Prefix 10.14353/sjk.
Year of Launching 1993
Publisher The Sociolinguistic Society of Korea
Indexed/Tracked/Covered By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1-10-3894-3164
- E-mail: schang@hoseo.edu